본문 바로가기
우리나라 새

아메리카홍머리오리

by 숲사랑 (Forestlover) 2009. 4. 7.



 

 

아메리카홍머리오리는 오직 소수가 겨울철을 우리나라에서 보내는

희귀한 새 가운데 하나이다. 홍머리오리와 외관은

비슷하게 보이나 이마의 흰색이 홍머리오리보다 더

흰색에 가깝고 눈 위쪽이 붉은 기운 대신에 보는 각도에 따라

청회색으로 보이거나 짙은 갈색에 가깝게 보인다.

 

부산의 낙동강 하구언에 매년 소수가 찾아온다고는 하지만

워낙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그 모습을 사진으로 담은 경우가

얼마 되지 않는다. 지난 겨울 먼길을 떠나 찾아갔지만

귀한 모습을 내게는 보여주지 않았다.

 

그러다가.... 봄이 깊어가는 어느날....

 

지인이 강릉에서 아메리카홍머리오리를 발견했다.

혹시 담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

난 3시간 반을 달려 목적지에 닿았다. 지인은 출타중이었고

이교수님이 대신 나오셨다. 넓은 장소에서 아메리카홍머리오리는

고사하고 홍머리오리 조차 시야에 들어오지 않았다. 두 시간 정도

지나서 이교수님이 아메리카홍머리오리를 발견했다고 전화를 주신다.

다가가보니 대략 100미터 거리... 어느 쪽으로도 접근로가 없다.

수 많은 오리류와 뒤섞여 있어서 접근하면 청둥오리가 날게되고

같이 날아갈게 뻔한 이치였다.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묘책이

없었고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먼 거리의 피사체를 담아봐야

몽롱한 이미지만 담길 뿐이었다. 지인이 전화를 해왔다.

설명을 듣더니만 먼길을 달려 왔는데 그냥 가면 안된다면서

무슨 수를 써서라도 담아가라고 한 마디 던진다.

 

결국 방법은 비행샷 밖에 없다. 수백마리 날아오르는 오리들 가운데

아메리카홍머리오리를 찾아서 촬영을 하는 일이다.

해는 기울고 있었고 광량은 시시각각 줄어들었다.

지극히 맥빠지는 상황.....

 

결과는 어찌 되었을까요?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
 

 

 

휴~~~~~~~~~

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습니다.

 

강릉의 지인과 이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.

 

 

'우리나라 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홍도의 새들  (25) 2009.05.12
개미잡이를 만나다  (9) 2009.05.03
길 떠나는 재두루미  (3) 2009.04.07
황여새  (5) 2009.03.22
홍여새  (6) 2009.03.22

댓글